<Transmuted seperation>

Solo exhibition by Petr Kroschinsky.

2024.09.23 ~ 2024.10.06

As we traverse the outskirts of the city, the electrification systems appear like veins, channeling energy to power homes, industries, and public spaces. Suspended on power poles, ceramic insulators glisten in clusters, quietly performing their task. Crafted from porcelain, these objects resist the flow of current, ensuring the integrity and safety of the entire network.

In the 21st century, our understanding of the natural world has advanced, separating the mythical from the tangible. Scientific discoveries have expanded our classification of life, bringing new realms into focus—bacteria, fungi, protozoa—and introducing an era where technological interventions blur the line between the organic and the artificial. From genetically engineered organisms to industrialized environments, the boundaries of what is natural are increasingly fluid, reflecting the hybrid nature of our current existence.

“Transmuted Separation” reimagines this intersection of nature, technology, and isolation through the metaphor of the ceramic insulator. Here  ordinary industrial objects take on new roles as symbol of division and transition. This exhibition reframes isolation not only as a boundary but as a conduit for change—an opportunity to re-examine how we navigate disconnection and interaction in our lives. By focusing on these objects,  Petr Kroschinsky prompts us to explore the duality of isolation, where separation can be both a hindrance and a catalyst for transformation.

Petr Kroschinsky.

도시 외곽을 가로지르면 전기 공급 시스템이 혈맥처럼 나타나 가정, 산업, 공공장소에 에너지를공급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전봇대에 매달린 세라믹 절연체가 무리지어 반짝이며, 조용히 본연의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도자기로 제작된 이 물체는 전류의 흐름에 저항하여 전체적인 전력망의 무결성과 안전을 보장한다.

21세기에 들어 자연 세계에 대한 우리의 이해는 신화적인 것과 실재하는 것을 구분할 수 있을 정도로 발전했다. 과학적 진보는 생명체의 분류 범위를 확장하여 박테리아, 곰팡이, 원생동물 등 새로운 영역에 주목하게 만들었고, 기술적 개입으로 유기체와 인공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시대를 열렸다. 유전자 조작 생물부터 산업화된 환경에 이르기까지 자연적인 것의 경계는 점점 더 유동적으로 변하고 있으며, 이는 현재 우리 존재의 혼종적 특성을 반영한다.

“변형된 분리”는 세라믹 절연체라는 은유를 통해 자연, 기술, 고립의 교차점을 재구성한다. 여기서 일상적인 산업 오브제들은 분열과 전환의 상징으로서 새로운 역할을 맡게 된다. 이번 전시는 고립을 경계뿐만 아니라 변화의 통로로서 재조명하며, 우리 삶에서의 단절과 상호작용을 탐색하는 과정을 돌아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작가는 이러한 오브제에 집중함으로써 고립이 장애물이 되면서도 변화의 촉매제가 될 수 있는 고립의 이중성을 탐구하도록 유도한다.